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 고대부터 조선까지 한국 별자리와 천문 문학사
순수과학
도서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 고대부터 조선까지 한국 별자리와 천문 문학사
  • ㆍ저자사항 김일권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고즈윈, 2009
  • ㆍ형태사항 503p.: 삽화; 24cm
  • ㆍ일반노트 부록: '녹우당본 방성도해와 방성도 용법 원문' 수록 색인:p. 499-504
  • ㆍISBN 9788992975087
  • ㆍ주제어/키워드 천문학사 하늘 별자리
  • ㆍ소장기관 해나루(송악)작은도서관
  • ㆍQR코드 QR코드: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 고대부터 조선까지 한국 별자리와 천문 문학사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EK0000002046 [해나루]작은도서관
440.911-김763ㅇ
대출가능 상호대차

상세정보

고대부터 조선까지 한국 별자리와 천문 문화사 무수한 논쟁거리와 이야기가 담긴 우리 하늘과 별자리의 역사!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황소자리, 큰곰자리, 카시오페이아, 안드로메다 등 서양의 별자리 이름들은 이제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하다. 서양인들은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은 별자리에 하나씩 이름을 붙이고 그에 걸 맞는 이야기들을 붙이곤 했다. 그렇다면 우리의 조상들을 하늘을 어떻게 이해했을까? 한국의 별자리들과 천문 문화는 어떻게 이어져 왔을까? 이 책은 한국과 동양의 역사천문학을 정리한 전통천문 학술서라 할 수 있다. 천지서상지 , 고려사 등 여러 옛 사료와 관점을 통해 오랜 세월 동안 이어져 온 우리나라 천문의 맥을 짚어본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전통천문을 고대와 삼국, 고려, 조선 등 시대별로 정리하여 소개한다. 고분 벽화와 고인돌, 암각화, 불화, 능묘 등 230여 점이 되는 풍성한 그림 자료를 수록, 우리 조상들이 하늘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엿보게 한다. 고인돌과 석관 등에 새겨진 고구려식 북극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 천문도, 고려와 조선 초의 치성광 불화,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신법천문도 등을 통해 우리가 잊어버린 우리의 하늘과 별자리를 찾아본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당찬당진

(31776) 충남 당진시 당진중앙2로 132-30     TEL : 041-360-6916    FAX : 041-360-6919

COPYRIGHT 2017 © DANGJINCITY. ALL RIGHT RESE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