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윤곤강 문학 연구 = Study of Yoon Gon-gang's literature
문학
도서 윤곤강 문학 연구 = Study of Yoon Gon-gang's literature
  • ㆍ저자사항 박주택 외
  • ㆍ발행사항 고양: 새미, 2022
  • ㆍ형태사항 431 p.; 23 cm
  • ㆍ일반노트 국학자료원·새미·북치는마을·LIE는 국학자료원 새미의 브랜드임 집필진: 박주택, 송기한, 송재일, 박진희, 전지윤, 이재복, 김홍진, 김현정, 한상철, 이형권, 김웅기, 김태형, 박성준
  • ㆍISBN 9791167970831
  • ㆍ주제어/키워드 윤곤강 문학 연구 Study literature
  • ㆍ소장기관 소들빛작은도서관
  • ㆍQR코드 QR코드: 윤곤강 문학 연구 = Study of Yoon Gon-gang's literature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EP0000000745 [소들빛]작은도서관
811.6109-박619ㅇ
대출가능 상호대차

상세정보

『윤곤강 문학 연구』는 윤곤강의 작품 세계와 문학사적 의의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필 수 있는 연구 주제를 토대로 ‘미완’의 영역을 보충하고자 노력하였다. 본서는 윤곤강과 그의 작품에 대해 논의를 꾸준하게 이어온 연구자들과 새로운 시각으로 윤곤강을 재독해내고자 한 연구자들의 폭넓은 논점을 바탕으로 첫째, 윤곤강 문학 세계의 변모 양상, 둘째, 윤곤강 문학의 특성, 셋째, 윤곤강 문학의 장소성, 넷째, 윤곤강의 문학사적 위치라는 네 가지 대주제로 구성되었다. ‘윤곤강 문학 세계의 변모 양상’에서는 제1시집부터 제6시집까지 윤곤강의 시적 태도와 성격이 다채로운 변화를 겪는 바, 『大地』에서 『살어리』까지의 통시적·개별적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윤곤강 시의 시적 변모 양상」은 윤곤강의 생애에 따른 시적 변모를 전체적으로 논구한다. 식민지 근대 현실에서 카프의 각성을 촉구하고, 변화를 모색하고자 했던 윤곤강의 태도는 『大地』에서 봄과 겨울이 혼재하는 갈등의 시원인 대지 공간으로 반영되었다. 이는 겨울-현재의 혹독한 시련을 견디는 온존의 세계이며 ‘생명-미래를 노래하는 낙원의 모상(模像)’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제2시집 『輓歌』는 윤곤강 내면 주체의 기록이었다. ‘기억과 경험’의 무상한 죽음의식을 노래하는 속에서 시인은 ‘죽음’과 ‘애도’의 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그리하여 ‘애도하는 주체로 인해 회복된 공간으로 상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이렇듯 『輓歌』의 시편이 죽음과 대결하며 고통받는 ‘주체’의 모습을 드러냈다면, 제3시집 『動物詩集』의 시편은 앞선 시편에서의 격정을 동물이라는 대상에 고정시키며 비교적 안정적인 의식을 유지한다. 일종의 알레고리 형식으로서 구성된 『動物詩集』을 통해 윤곤강은 체험과 지각이 ‘주체의 타자화’, 내지는 ‘타자의 주체화’가 되는 공존의 의미를 고찰하게 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당찬당진

(31776) 충남 당진시 당진중앙2로 132-30     TEL : 041-360-6916    FAX : 041-360-6919

COPYRIGHT 2017 © DANGJINCITY. ALL RIGHT RESEVED.